Pages

Wednesday, June 8, 2022

Epistemic outcomes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in a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Scholarly Article -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2022]

Title:
Epistemic outcomes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in a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uthors:
Dylan G. Williams, Faculty of Liber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wanak-gu, The Republic of Korea
Juup Stelma, Manchester Institute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UK
 
Published: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Volume 27, Issue 4, 17 March 2022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epistemic outcomes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in a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HE) cont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pistemic outcomes, the exploration draws on existing conceptualisations of linguistic and symbolic capital, and the literature on epistemic justice. The paper makes use of qualitative interview data generated with ten Business and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analysis reveals that students’ use and trust the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differently across EMI situations. This observation is used to identify two undesirable epistemic outcomes, including: (a) how students are prevented from negotiating understanding of HE subject content using their L1, and (b) the wider epistemic implications of English as the language that provides access to HE subject content. Finally, with reference to Fricker’s theory of ‘epistemic injustice’, we reflect on the new theoretical understanding we have developed of epistemic outcomes in this South Korean multilingual HE context.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등교육 (HE) 환경에서 영어 매개강의 EMI (English Medium Instruction) 의 인식론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인식론적 결과를 이해하기 위해서 언어 및 상징적 자본에 대한 기존 개념들 그리고 인식론적 정의에 관한 문헌들을 살피고 활용하였다. 이번 연구는 경영학과 및 공과대학 학부 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면접 조사로 얻어진 질적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EMI 상황에 따라 학생들이 한국어와 영어를 사용하고 신뢰하는 방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관찰을 통해 예상 밖의 인식론적 결과 두 가지가 도출되었다: (a) 전공과목 수업의 이해 소통을 위해 학생들이 한국어(L1)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 하는 방식, (b) 과목 내용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언어로서 영어가 가진 광범위한 인식론적 함의라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릭커 (Fricker) 의 ‘인식론적 부정’이론을 참고하여, 한국의 다중 언어적 고등교육 (HE) 환경에서 도출한 인식론적 결과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이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